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텀블러 생기면 백번 이상 쓰기

 

 

 텀블러가 새로 생겼다. 회사에서 쓰고 있던 머스터드 텀블러와는 별개로 하나가 생긴 것이다. 집에서 커피를 사올 텀블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선물찬스가 기회였다. 동안 텀블러가 붙은 카누세트를 사야 하나, 당근마켓에서 것을 사나 고민하고 있었지만 어떤 하나 마음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리고 카누에서는 아직도 하고 있다면 텀블러 증정을 그만했으면 좋겠다. 차라리 스틱 몇개를 끼워줬으면!)

 

 

 여튼 텀블러가 생긴 뒤로는 아이스라떼가 마시고 싶은 일요일 오전이나, 근처에서 커피를 사올 일이 생길 꼬박꼬박 챙겨가 유용하게 쓰고 있는 중이다. 내다 버릴 쓰레기가 생기지 않는 것이 가장 크겠지만 요즘처럼 더운 얼음도 쉽게 녹지 않고, 맥주도 시원한 상태로 마실 있다는 장점도 무시할 없다.

 

 

 

이미 회사에서 쓰고 있는 머스터드색 텀블러.

 

 

 종이나 플라스틱 같은 테이크아웃컵을 쓰는 것보다 환경에 도움이 되는 것처럼 보이는 텀블러도 커피전문점에 줄지어 서있는 모습은, 조금 무서운 분위기가 풍긴다. 용량과 함께 스테인리스, 플라스틱으로 소재도 다르다. 톨사이즈 보틀엔 톨사이즈만큼만 마실 있고 아이스는 콜드컵, 음료는 스테인리스에 담아야 같은 강박을 줘서 눈길이 가더라도 내려놓기를 반복했고. 제작될 사용되는 자원이나 탄소 배출도 것이라는 결론으로 아주 자연스럽게 도달했던 것이다. 

 

 

 

 

디저트와 밀크티를 사준 친구에게 보낸 인증.

 

 

 텀블러를 즐겨 쓰게 이후로 이런저런 기사를 살펴봤는데, KBS 뉴스 <온실가스가 친환경 텀블러에서 나와?(2019 11 29 기사>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다.

 

 

300mL 용량의 텀블러와 일반적으로 카페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일회용 플라스틱 , 그리고 종이컵의 소재를 분석하고 무게를 , 소재별 탄소배출계수를 적용해 계산 했을때,

종이컵보다는 24, 일회용 플라스틱 컵보다는 13 높은 수치로 텀블러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높다.

 

하지만, 

 

하루에 커피 잔씩을 마신다고 가정해보면, 플라스틱 컵은 2 만에, 종이컵은 만에 텀블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따라잡는다. 격차는 점점 벌어져, 6개월 후에는 플라스틱 컵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텀블러의 11.9, 1 21배가 된다. 플라스틱 대신 텀블러를 2 이상 꾸준히 쓰면 온실가스 배출량이 33.5배가량 줄게 되는 .

 

 

 

 

좋아하는 카페에서 산 살구소다. 머들러가 딱히 없어 빨대를 쓴게 아쉬웠다.

 

 

 그러니까 텀블러를 산다는 행위 자체는 그다지 친환경에 도움되지 않는다는 사실, 그리고 한 번 사면 여러 번 사용해야만 효과가 있다는 것을 늘 잊지 않아야 하는 것.

 

 실은, 요즘 며칠 삐걱거리는 일이 많았지만 오래도록 챙겨 쓰고 싶다.